NEWS
뉴스투데이 오전 7시 30분
930뉴스 오전 9시 30분
5시 뉴스와 경제 오후 4시 55분
뉴스데스크 오후 8시 20분
뉴스투데이 오전 7시 30분
930뉴스 오전 9시 30분
5시 뉴스와 경제 오후 4시 55분
뉴스데스크 오후 8시 20분
뉴스데스크

지하 연구 시설에 5천억 넘게 투자되는데, 파급 효과는?

추천뉴스,보도특집,태백시,뉴스리포트
2025.02.13 20:30
595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 방송일자
    2025-02-13
태백시가 유치한 지하 연구시설의 효과와
과제를 점검하는 연속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

이 국책사업 예산만 현재 5천억 원이 넘지만,
지역 경제에 얼마나 도움을 줄지는
명확히 알 수 없습니다.

사업 유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보도에 조규한 기잡니다.


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한 전국의 연구자
10여 명이 지하 처분 연구시설을 둘러봅니다.

연구 장비와 개발 시제품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자세히 살펴봅니다.

[조규한 기자]
"이곳 연구시설에는
지난 한 해에만 70여 개 팀,
천7백여 명이 견학을 다녀갔습니다."

2032년까지 태백시 철암동 일대
땅속 500미터에 건설할 연구시설 면적은
지상 3만 6천 ㎡, 지하 6만 ㎡로 추정됩니다.

태백에 기숙사가 지어져
연구원 50여 명이 생활하고,
홍보관도 만들어 관람객을 받을 예정입니다.

이런 연구시설을 짓는 데에만
5천138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되는데,
원자력연구원 시설보다 40배 이상 많습니다.

[이재학/원자력환경공단 본부장]
"이 중에서 4,738억 원은 지상과 지하 시설의
건설비고요. 나머지 390억 원은 건설과
병행해서 2032년까지 수행하는 중·저심도
지질 데이터 확보 연구비입니다. "

지하 연구시설이 다 지어진 뒤
각종 장비와 시스템 등을 갖추면
모두 1조 원가량 쓰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업 주체인 원자력환경공단은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지역 경제 유발 효과를
3천억 원 정도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재학/원자력환경공단 본부장]
"직접적 경제 기대 효과는
약 3천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건설 단계에서는 지역 업체 참여,
지역 주민 고용, 외부 건설 인원 유입 등으로 인해서..."

건설 과정에서 연 인원 8천여 명이
동원될 것으로 추정했지만
실제 설계 용역이 끝나봐야 알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태백의 지하 연구시설은
수직갱으로 만들어질 예정인데,
일각에서는 기계 장비가 아닌 인력이
많이 필요할지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기숙사에서 살 예정인데다
가족들이 태백으로 와서 같이 생활할지도
불투명합니다.

[이상호/태백시장]
"주체가 사실 원자력환경공단이거든요.
우리가 원자력환경공단과 원자력연구원하고,
긴밀하게 협의를 해서 해야죠. "

사용후 핵연료를 취급하거나
발전소와 같은 시설이 아니어서,
지원금이 지역에 따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연구시설 수명이 20년이어서,
어떻게 경제 효과를 계속 이어갈지를
미리 고민해야 합니다.

MBC뉴스 조규한입니다.
(영상취재 : 배광우, 취재 협조: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