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지역별 뉴스
뉴스데스크
-
방송일자
2025-03-04
1980년 민주화항쟁의 시초로 평가 받는
정선 사북항쟁이 올해 45주년을 맞았습니다.
2008년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국가폭력사태로 인정했지만,
정작 피해자들은 아직 국가 사과와
실질적 피해 회복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요,
정선군이 조례를 제정하고
국회 차원의 첫 언급도 나와
후속 조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박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한 달 전인 1980년 4월.
국내 최대 민영 탄광인 동원탄좌 사북광업소에노동항쟁이 들불처럼 일어났습니다.
광부들이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어용 노조를 개선하라고 요구한 겁니다.
하지만 국가는 이에 대한 묵살을 넘어
이들을 폭도로 몰았습니다.
무차별 연행 조사와 불법 감금,
고문까지 자행된 겁니다.
사북항쟁 45주년을 맞은 올해,
정선군의회가 사북항쟁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수십 년 고통 속에 지내온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한 각종 기념 사업과
희생자 추모, 재정 지원 등에
근거를 마련한 겁니다.
[배왕섭/정선군의원]
"지난 40년 넘는 시간 동안 우리 피해자분들과 또 유가족분들 정말 고통 속에 살아 계실텐데 지금이라도 이렇게 제정이 돼서 첫 걸음마가
시작됐습니다."
국회 차원의 공식 언급도 처음 나왔습니다.
최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이해식 국회의원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의 권고를
구체적으로 이행할 계획을 문서로 제출하라고
행정안전부에 요구했습니다.
진화위는 지난 2008년과 지난해 사북항쟁을
국가폭력 사태로 규정하고 국가의 공식 사과와 피해 회복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이해식/국회의원]
(지난 달 18일, 국회 행안위 전체회의)
'2008년 권고가 있었던 이래 지금까지 0% 입니다. 이행 계획을 행안부에서 세우게 돼 있고 특히 국방부 등에다가 이 조치 계획을 제출 받아야 되거든요."
이제 막 물꼬를 튼 상황에
피해자들은 변화의 작은 발걸음이 시작됐다며
반기고 있습니다.
[황인오/사북항쟁동지회장]
"고통을 당한 분들에 대한 배상과 보상 이런 것들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가 당연히 노력을 해야 되는 거고 또 저희도 그것을 촉구하기 위해서 하여튼 최선의 노력을 다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사북항쟁 45주년인 올해
적어도 국가가 공식 사과를 내야 한다는
목표가 제시됐습니다.
피해자와 유가족들의
실질적인 피해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등 후속 조치에 대한 요구도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박은지입니다. (영상취재 최기복)
정선 사북항쟁이 올해 45주년을 맞았습니다.
2008년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국가폭력사태로 인정했지만,
정작 피해자들은 아직 국가 사과와
실질적 피해 회복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요,
정선군이 조례를 제정하고
국회 차원의 첫 언급도 나와
후속 조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박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한 달 전인 1980년 4월.
국내 최대 민영 탄광인 동원탄좌 사북광업소에노동항쟁이 들불처럼 일어났습니다.
광부들이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어용 노조를 개선하라고 요구한 겁니다.
하지만 국가는 이에 대한 묵살을 넘어
이들을 폭도로 몰았습니다.
무차별 연행 조사와 불법 감금,
고문까지 자행된 겁니다.
사북항쟁 45주년을 맞은 올해,
정선군의회가 사북항쟁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수십 년 고통 속에 지내온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한 각종 기념 사업과
희생자 추모, 재정 지원 등에
근거를 마련한 겁니다.
[배왕섭/정선군의원]
"지난 40년 넘는 시간 동안 우리 피해자분들과 또 유가족분들 정말 고통 속에 살아 계실텐데 지금이라도 이렇게 제정이 돼서 첫 걸음마가
시작됐습니다."
국회 차원의 공식 언급도 처음 나왔습니다.
최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이해식 국회의원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의 권고를
구체적으로 이행할 계획을 문서로 제출하라고
행정안전부에 요구했습니다.
진화위는 지난 2008년과 지난해 사북항쟁을
국가폭력 사태로 규정하고 국가의 공식 사과와 피해 회복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이해식/국회의원]
(지난 달 18일, 국회 행안위 전체회의)
'2008년 권고가 있었던 이래 지금까지 0% 입니다. 이행 계획을 행안부에서 세우게 돼 있고 특히 국방부 등에다가 이 조치 계획을 제출 받아야 되거든요."
이제 막 물꼬를 튼 상황에
피해자들은 변화의 작은 발걸음이 시작됐다며
반기고 있습니다.
[황인오/사북항쟁동지회장]
"고통을 당한 분들에 대한 배상과 보상 이런 것들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가 당연히 노력을 해야 되는 거고 또 저희도 그것을 촉구하기 위해서 하여튼 최선의 노력을 다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사북항쟁 45주년인 올해
적어도 국가가 공식 사과를 내야 한다는
목표가 제시됐습니다.
피해자와 유가족들의
실질적인 피해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등 후속 조치에 대한 요구도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박은지입니다. (영상취재 최기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