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뉴스데스크
뉴스데스크
-
방송일자
2025-06-08
동해안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는
송전선로 건설이 계속 미뤄지고 있습니다.
송전 제약으로 인한 발전소 피해가 불면서
지역 경제도 큰 타격을 입고 있지만
사태 해결은 멀어 보입니다.
조규한 기자입니다.
삼척시 적노동에 들어선 화력발전소입니다.
모두 2,100MW 규모의 발전 설비가 있는데,
요즘도 발전소는
하루 9% 정도 밖에 가동되지 않습니다.
발전소 굴뚝에서도 수증기가 올라오는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조규한 기자]
"이 발전소에서 송전 제약이 이뤄진지
벌써 1년입니다. 올해 초부터는 발전기 2기가 상업 운전할 수 있는데, 여전히 송전 제약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전력당국에서 전기 생산량을 배정하는데,
지금 추세라면 연간 발전소 이용률은
20%를 밑돌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장재영/삼척블루파워 홍보팀장]
"이와 같은 송전 제약 하에서는
하반기 현금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으며, 연말에는 천억 원 이상의
자금 부족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강릉과 동해 등 다른 3곳의 발전소 이용률도
올해 20% 안팎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를 팔아 돈을 벌지 못하다 보니
현금 확보가 쉽지 않고,
돈을 빌릴 곳도 마땅치 않아
발전소들은 이제 부도를 걱정하는 처지입니다
협력업체는 손해를 보며 겨우 버티고 있고,
소비 지출과 지방세 수입이 줄면서
지역 상권과 지자체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송전 제약의 원인인
동해안 지역과 수도권을 잇는
송전선로 건설 사업 기간은 최근 2027년까지,
오히려 1년 더 미뤄졌습니다.
사업 기간과 관계없이,
송전선로가 차질 없이 세워지면
내년 하반기쯤
송전 제약이 다소 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인허가도 받지 못한
수도권 변전소 등을 고려하면 장담하기 어렵고,
그때까지 발전소들이 버틸지도 의문입니다.
이 때문에 지역 상공인들과 지자체는
원전에 치중한 송전선로 이용을 화력발전소에
적절히 배분하거나 연계 산업을 유치하는 등의
대책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습니다.
[정희수/삼척상공회의소 회장]
"지역 민간 발전사와 지역 기업 간
직거래 제도를 만들면 저렴한 비용의
전력 비용으로 경쟁력이 좀 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한번 해 봅니다."
하지만 정부는 적절한 해법을 내놓지 않은 채 뒷짐만 지고 있어, 발전업계와 지역 상공인들은
답답해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조규한입니다. (영상취재 배광우)
송전선로 건설이 계속 미뤄지고 있습니다.
송전 제약으로 인한 발전소 피해가 불면서
지역 경제도 큰 타격을 입고 있지만
사태 해결은 멀어 보입니다.
조규한 기자입니다.
삼척시 적노동에 들어선 화력발전소입니다.
모두 2,100MW 규모의 발전 설비가 있는데,
요즘도 발전소는
하루 9% 정도 밖에 가동되지 않습니다.
발전소 굴뚝에서도 수증기가 올라오는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조규한 기자]
"이 발전소에서 송전 제약이 이뤄진지
벌써 1년입니다. 올해 초부터는 발전기 2기가 상업 운전할 수 있는데, 여전히 송전 제약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전력당국에서 전기 생산량을 배정하는데,
지금 추세라면 연간 발전소 이용률은
20%를 밑돌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장재영/삼척블루파워 홍보팀장]
"이와 같은 송전 제약 하에서는
하반기 현금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으며, 연말에는 천억 원 이상의
자금 부족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강릉과 동해 등 다른 3곳의 발전소 이용률도
올해 20% 안팎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를 팔아 돈을 벌지 못하다 보니
현금 확보가 쉽지 않고,
돈을 빌릴 곳도 마땅치 않아
발전소들은 이제 부도를 걱정하는 처지입니다
협력업체는 손해를 보며 겨우 버티고 있고,
소비 지출과 지방세 수입이 줄면서
지역 상권과 지자체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송전 제약의 원인인
동해안 지역과 수도권을 잇는
송전선로 건설 사업 기간은 최근 2027년까지,
오히려 1년 더 미뤄졌습니다.
사업 기간과 관계없이,
송전선로가 차질 없이 세워지면
내년 하반기쯤
송전 제약이 다소 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인허가도 받지 못한
수도권 변전소 등을 고려하면 장담하기 어렵고,
그때까지 발전소들이 버틸지도 의문입니다.
이 때문에 지역 상공인들과 지자체는
원전에 치중한 송전선로 이용을 화력발전소에
적절히 배분하거나 연계 산업을 유치하는 등의
대책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습니다.
[정희수/삼척상공회의소 회장]
"지역 민간 발전사와 지역 기업 간
직거래 제도를 만들면 저렴한 비용의
전력 비용으로 경쟁력이 좀 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한번 해 봅니다."
하지만 정부는 적절한 해법을 내놓지 않은 채 뒷짐만 지고 있어, 발전업계와 지역 상공인들은
답답해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조규한입니다. (영상취재 배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