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930뉴스 오전 9시 30분
5 MBC뉴스 오후 4시 55분
뉴스데스크 오후 8시 20분
930뉴스 오전 9시 30분
5 MBC뉴스 오후 4시 55분
뉴스데스크 오후 8시 20분
  • NEWS
  • 뉴스데스크
뉴스데스크

오징어 어획량 '뚝', 동해안 오징어 옛말?

2022.04.18 19:25
345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 방송일자
    2022-04-18
[앵커]
올해 초부터 3개월간
강원도에서 잡힌 오징어가
지난해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예전보다 높은 수온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는데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서해에서 오징어 어획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항구에 어선들이 정박해있습니다.

이달부터 오징어 금어기가 시작되면서
조업을 나가지 못하고 발이 묶인 겁니다.

올해 들어 3개월간 도내 어선들이 금어기를 앞두고
바짝 오징어잡이에 나섰지만,
좀처럼 재미를 보지 못했습니다.

[그래픽]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도내 오징어 어획량은 411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 수준에 불과합니다.

[윤국진/강원도 연안채낚기연합회장]
'채낚기어선들이 겨울에 돈을 많이 벌었는데 오징어가 나서.
근데 금년같이 (오징어가) 안 난 것도 처음이에요.
채낚기 사업을 한 25년 했는데도
이런 경우가 처음이에요. 오징어가 안 나기는.'

수산당국은 오징어 어획이 부진한 이유로
높은 수온을 꼽고 있습니다.

[그래픽] 통상적으로 겨울철에 수온이 떨어지면
북쪽에 있던 오징어 어군이 따뜻한 남쪽으로 내려오는데
올해 초 동해 북한수역의 수온이 평년보다 높은 15도 안팎으로
유지되면서 이곳에서 어군이 오래 머물렀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김중진/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
'(동해 북한수역의) 수온이 평년에 비해서 3도에서 5도 정도
높았어요. 수온이 그 정도로 높게 형성이 되는 경우에는 얘네들
(오징어 어군)이 남쪽으로 내려오는 시기도 이전에 비해서 굉장히
늦어질 수가 있고요.'

고수온 현상은 동해에서만 나타나는 게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오징어 어획량이 적었던 서해도
예전보다 수온이 상승해 오징어가 많이 잡히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봄과 여름 서해안 수온이 평년보다
최대 1.5도 높게 형성되면서
전북과 충남 등 서해안의 오징어 어획량이 늘었습니다.

[그래픽] 10여 년 전과 비교하면
강원·경북 지역은 오징어 어획량이 줄어든 반면,
전남과 전북, 충남 등 서해안 지역은
어획량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기후 변화로 오징어 자원 분포와 어황이 불규칙해지면서
동해안 명물 오징어라는 말도 옛말이 돼가고 있습니다.

MBC NEWS 이웅입니다.(영상취재 양성주)